[디지털타임스] AI & 빅데이터로 신약 개발... "헬스케어, 미래 신산업 육성"
최고관리자
2018-12-10 15:14
8,577
-
6706회 연결
본문
디지털타임스
AI · 빅데이터로 신약 개발 ... "헬스케어, 미래 신산업 육성"
정부가 빅데이터, AI(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로 국재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 끌어올리기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300명의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생산, 관리하고, AI를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10일 발표했다.
이를 통해 건강수명은 2015년 73세에서 2022년 76세로,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는 2016년 13만명에서 2022년 18만명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번 발전전략은 세계적으로 고속 성장하고 있는 헬스케어 분야를 국내에서도 혁신성장의 동력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이날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9차 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연 15.2%, 헬스케어 AI 시장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 52.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민간전문위원과 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ㅣㅅㄱ품의약품안전처 합동으로 '헬스케어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중점 추진 전략을 논의해왔다.
정부는 그 결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 기술로 누구나 건강한 사회를 구현한다는 비전 아래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
· 관리 시범체계 운영 △AI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헬스케어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중점과제로 꼽았다.
우선 정부는 내년부터 2021년까지 일반인, 암 생존자 등 300명의 건강 · 의료 · 유전체 데이터를 추려 통합 · 분석하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을 추진한다.
참여자의 데이터를 생산 · 취합하고 분석한 뒤 이를 관련 기술 및 서비스 개발까지 활용해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 경험을 축적한다는 계획이다.
또 AI 활용을 통해 신약개발 기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등 신약개발 역량을 높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신약 후보물질 도출, 전임상시험, 스마트 약물 감시 등 개발 전체 과정에 활용 가능한 단계별 AI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임상시험 효율과 품질 등을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임상시험 구축 사업도 진행한다.
차세대 임상시험관리시스템을 개발해 임상시험 센터별 각기 다른 시스템을 하나로 통일해 임상시험의 효율성 · 품질을 높이기로 했다. 이 시스템으로 임상시험 자원의 표준화 · 공동활용, 임상시험 걸계, 환자, 모집 등 신약개발을 지원하겠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여러 곳에서 임상시험을 수행할 때 상호 인증 제도를 시범운영하고, 혁신형 제약기업의 신약개발 승인 · 허가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빅데이터, AI, 3D 프린팅 등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도 추진한다. 이러한 혁신 의료기술을 평가하는 별도의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체외진단 신의료기술평가는 사후평가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 밖에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역 바이오 · 헬스 클러스터와 지방거점 병원을 연계하고, 병원 · 기업 간 공동연구 확산을 위한 개방형 실험실(Field Lab)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AI ·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기존에 없던 기술, 새로운 서비스 시장 등 헬스케어 산업의 지각이 변동하고 있다"면서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통해 현재의 성장 추이를 가속하고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김수연 기자
AI · 빅데이터로 신약 개발 ... "헬스케어, 미래 신산업 육성"
정부가 빅데이터, AI(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로 국재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 끌어올리기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300명의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생산, 관리하고, AI를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10일 발표했다.
이를 통해 건강수명은 2015년 73세에서 2022년 76세로,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는 2016년 13만명에서 2022년 18만명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번 발전전략은 세계적으로 고속 성장하고 있는 헬스케어 분야를 국내에서도 혁신성장의 동력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이날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9차 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연 15.2%, 헬스케어 AI 시장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 52.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민간전문위원과 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ㅣㅅㄱ품의약품안전처 합동으로 '헬스케어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중점 추진 전략을 논의해왔다.
정부는 그 결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 기술로 누구나 건강한 사회를 구현한다는 비전 아래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
· 관리 시범체계 운영 △AI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헬스케어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중점과제로 꼽았다.
우선 정부는 내년부터 2021년까지 일반인, 암 생존자 등 300명의 건강 · 의료 · 유전체 데이터를 추려 통합 · 분석하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을 추진한다.
참여자의 데이터를 생산 · 취합하고 분석한 뒤 이를 관련 기술 및 서비스 개발까지 활용해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 경험을 축적한다는 계획이다.
또 AI 활용을 통해 신약개발 기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등 신약개발 역량을 높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신약 후보물질 도출, 전임상시험, 스마트 약물 감시 등 개발 전체 과정에 활용 가능한 단계별 AI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임상시험 효율과 품질 등을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임상시험 구축 사업도 진행한다.
차세대 임상시험관리시스템을 개발해 임상시험 센터별 각기 다른 시스템을 하나로 통일해 임상시험의 효율성 · 품질을 높이기로 했다. 이 시스템으로 임상시험 자원의 표준화 · 공동활용, 임상시험 걸계, 환자, 모집 등 신약개발을 지원하겠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여러 곳에서 임상시험을 수행할 때 상호 인증 제도를 시범운영하고, 혁신형 제약기업의 신약개발 승인 · 허가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빅데이터, AI, 3D 프린팅 등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도 추진한다. 이러한 혁신 의료기술을 평가하는 별도의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체외진단 신의료기술평가는 사후평가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 밖에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역 바이오 · 헬스 클러스터와 지방거점 병원을 연계하고, 병원 · 기업 간 공동연구 확산을 위한 개방형 실험실(Field Lab)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AI ·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기존에 없던 기술, 새로운 서비스 시장 등 헬스케어 산업의 지각이 변동하고 있다"면서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통해 현재의 성장 추이를 가속하고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