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인간줄기세포로 스스로 움직이는 로봇물고기 개발
최고관리자
2022-02-11 09:06
10,598
-
7815회 연결
본문
인간 줄기세포를 이용해 외부 자극 없이 스스로 움직이는 로봇 물고기가 한인 과학자들의 주도로 세계에서 처음 개발됐다.
미국 조지아 공대와 에머리 대학교에서 활동하는 박성진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박사후연구원 이길용 박사 등과 함께 인간 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심장근육을 이용해 지능형 자율 바이오 하이브리드 물고기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논문은 국제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이날 게재됐다.
박 교수는 2016년 7월 서강대학교 최정우 교수 등과 함께 쥐의 심장근육 세포를 이용해 스스로 움직이는 가오리 모양의 바이오 로봇을 만든 바 있다. 당시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연구팀은 인간 심장의 두 가지 내부 제어 기제를 이용해 로봇 물고기가 스스로 헤엄치고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 기제는 기계 자극을 감지하는 심장 세포의 성질이다.
연구팀은 물고기 모양의 하이드로겔 양면에 인간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심장 근육을 각각 붙여 물고기의 양쪽 근육 형태와 비슷하게 만들었다.
물고기의 양쪽에 부착된 심장 근육은 한쪽이 수축하면 다른 쪽 근육이 이완되며 기계 자극이 발생하고 이 자극을 다시 심장 근육 세포가 감지해 자동으로 수축된다.
외부자극없이 스스로 움직이는 지능형 자율 바이오 하이브리드 물고기[http://yna.kr/AKR20220210112500017]
이 같은 원리를 이용해 로봇 물고기는 양쪽에 부착된 근육이 상호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에너지원(포도당)이 있는 물속에서 스스로 헤엄을 쳤다.
두 번째 기제는 스스로 리듬을 조절하는 심장 박동 조직의 특성이다.
연구팀은 인간 심장 박동 조직과 비슷한 구조의 조직(G-node)을 만들었다. 이 조직에서 나온 심장 박동 리듬의 도움을 받아 로봇 물고기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잠시 멈추더라도 다시 근육을 수축·이완했다.
내부 제어 기제를 통해 만들어진 로봇 물고기는 다른 바이오 로봇보다 운동 속도가 빠르고 수명이 길며 운동 효율성도 뛰어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
미국 조지아 공대와 에머리 대학교에서 활동하는 박성진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박사후연구원 이길용 박사 등과 함께 인간 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심장근육을 이용해 지능형 자율 바이오 하이브리드 물고기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논문은 국제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이날 게재됐다.
박 교수는 2016년 7월 서강대학교 최정우 교수 등과 함께 쥐의 심장근육 세포를 이용해 스스로 움직이는 가오리 모양의 바이오 로봇을 만든 바 있다. 당시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연구팀은 인간 심장의 두 가지 내부 제어 기제를 이용해 로봇 물고기가 스스로 헤엄치고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 기제는 기계 자극을 감지하는 심장 세포의 성질이다.
연구팀은 물고기 모양의 하이드로겔 양면에 인간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심장 근육을 각각 붙여 물고기의 양쪽 근육 형태와 비슷하게 만들었다.
물고기의 양쪽에 부착된 심장 근육은 한쪽이 수축하면 다른 쪽 근육이 이완되며 기계 자극이 발생하고 이 자극을 다시 심장 근육 세포가 감지해 자동으로 수축된다.
외부자극없이 스스로 움직이는 지능형 자율 바이오 하이브리드 물고기[http://yna.kr/AKR20220210112500017]
이 같은 원리를 이용해 로봇 물고기는 양쪽에 부착된 근육이 상호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에너지원(포도당)이 있는 물속에서 스스로 헤엄을 쳤다.
두 번째 기제는 스스로 리듬을 조절하는 심장 박동 조직의 특성이다.
연구팀은 인간 심장 박동 조직과 비슷한 구조의 조직(G-node)을 만들었다. 이 조직에서 나온 심장 박동 리듬의 도움을 받아 로봇 물고기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잠시 멈추더라도 다시 근육을 수축·이완했다.
내부 제어 기제를 통해 만들어진 로봇 물고기는 다른 바이오 로봇보다 운동 속도가 빠르고 수명이 길며 운동 효율성도 뛰어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