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2025년 '5G+AI 스마트공장' 1000개 구축
최고관리자
2020-07-24 08:51
8,742
-
8331회 연결
본문
정부가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5G+AI 스마트공장' 등 AI·데이터를 활용한 중소기업의
제조 혁신 고도화에 나선다. 스마트공장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공유할 클러스터도 조성한다. 고도화 사업을 이끌
민관합동 사업추진단도 올 하반기 안에 출범하기로 했다.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보고했다. 이번 발표는
한국판 디지털 뉴딜의 후속 조치 가운데 하나다.
기존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하겠다는 중기부의 계획이 '스마트제조 1.0'이라면 이번 AI·데이터 기반
고도화 전략은 '스마트제조 2.0'이라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구축 △AI·데이터 중심의
스마트제조 공급기업 육성 △AI·데이터 기반의 제조혁신 거버넌스 확립 등 세 가지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
KAMP는 스마트공장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분석해 중소기업의 AI 스마트공장화를 지원한다. 중소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데이터 활용에 따른 이익을 데이터 생산 제조기업에 환원하는 '마이제조데이터' 체계를 마련한다.
올해 예산만 110억원 규모다.
또 오는 2025년까지 최첨단 '5G+AI 스마트공장'을 1000개 구축한다. 5세대(5G) 이동통신 네트워크, 가상물리시스템 등
첨단 기술과 융합해 공정상 문제를 해결하는 최첨단 5G+AI 스마트공장을 건설하는 게 핵심이다. 우선 오는 2022년까지
300개 구축이 목표다.
스마트공장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디지털 클러스터도 2025년까지 20곳을 조성한다. 기존 스마트공장 보급은
개별 기업 위주로 지원돼 기업 간 연계가 떨어지는 측면이 있었다.
강성천 중기부 차관은 “동종 기업 간, 복합 업종 간 연결을 5G 시스템 기반으로 더욱 강화하는 것”이라면서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연계 구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중기부는 AI 제조 인력 1만5000명을 추가로 양성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오는 11월 AI 챔피언십 등을 통해
혁신 AI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자금 지원도 강화한다.
중기부는 이 같은 전략에 힘을 실을 제조 혁신 관련 법률도 제정한다. 제조데이터의 수집·분석·활용을 위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제조데이터 진흥 기관을 지정, 제조데이터 생태계 구축을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 하반기 중 고도화 사업을
이끌어 갈 민관합동 KAMP 사업단도 출범시킬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한국판 뉴딜사업 등 민간투자〃민자 활성화를 위해 30조원+α 규모의 민자사업 활성화
추진 계획도 밝혔다. 뉴딜 대책에서 예정된 4조3000억원 규모의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5000억원 규모의 수소충전소
확충 사업, 7조8000억원 규모의 내진보강사업, 1000억원 규모의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교체사업 등의 민자 방식 추진을
검토한다. 올 하반기 '2020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사업' 가운데 민자로 전환 가능한 사업도 선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풍부한 시장 유동성이 민자사업으로 흘러들어 올 수 있도록 인센티브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모 인프라펀드에
대해 세율 14%의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도입하고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민투법) 상 인프라펀드 규제도 완화할 계획이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
제조 혁신 고도화에 나선다. 스마트공장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공유할 클러스터도 조성한다. 고도화 사업을 이끌
민관합동 사업추진단도 올 하반기 안에 출범하기로 했다.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보고했다. 이번 발표는
한국판 디지털 뉴딜의 후속 조치 가운데 하나다.
기존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하겠다는 중기부의 계획이 '스마트제조 1.0'이라면 이번 AI·데이터 기반
고도화 전략은 '스마트제조 2.0'이라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AMP) 구축 △AI·데이터 중심의
스마트제조 공급기업 육성 △AI·데이터 기반의 제조혁신 거버넌스 확립 등 세 가지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
KAMP는 스마트공장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분석해 중소기업의 AI 스마트공장화를 지원한다. 중소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데이터 활용에 따른 이익을 데이터 생산 제조기업에 환원하는 '마이제조데이터' 체계를 마련한다.
올해 예산만 110억원 규모다.
또 오는 2025년까지 최첨단 '5G+AI 스마트공장'을 1000개 구축한다. 5세대(5G) 이동통신 네트워크, 가상물리시스템 등
첨단 기술과 융합해 공정상 문제를 해결하는 최첨단 5G+AI 스마트공장을 건설하는 게 핵심이다. 우선 오는 2022년까지
300개 구축이 목표다.
스마트공장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디지털 클러스터도 2025년까지 20곳을 조성한다. 기존 스마트공장 보급은
개별 기업 위주로 지원돼 기업 간 연계가 떨어지는 측면이 있었다.
강성천 중기부 차관은 “동종 기업 간, 복합 업종 간 연결을 5G 시스템 기반으로 더욱 강화하는 것”이라면서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연계 구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중기부는 AI 제조 인력 1만5000명을 추가로 양성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오는 11월 AI 챔피언십 등을 통해
혁신 AI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자금 지원도 강화한다.
중기부는 이 같은 전략에 힘을 실을 제조 혁신 관련 법률도 제정한다. 제조데이터의 수집·분석·활용을 위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제조데이터 진흥 기관을 지정, 제조데이터 생태계 구축을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 하반기 중 고도화 사업을
이끌어 갈 민관합동 KAMP 사업단도 출범시킬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한국판 뉴딜사업 등 민간투자〃민자 활성화를 위해 30조원+α 규모의 민자사업 활성화
추진 계획도 밝혔다. 뉴딜 대책에서 예정된 4조3000억원 규모의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5000억원 규모의 수소충전소
확충 사업, 7조8000억원 규모의 내진보강사업, 1000억원 규모의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교체사업 등의 민자 방식 추진을
검토한다. 올 하반기 '2020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사업' 가운데 민자로 전환 가능한 사업도 선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풍부한 시장 유동성이 민자사업으로 흘러들어 올 수 있도록 인센티브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모 인프라펀드에
대해 세율 14%의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도입하고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민투법) 상 인프라펀드 규제도 완화할 계획이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