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미·중 생체인증 동맹 활발…한국 '갈라파고스' 우려
최고관리자
2020-04-06 08:52
8,524
-
8248회 연결
본문
애플, 비자카드,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기업이 생체인증 연합전선을 구축했다.
특히 지문반지(토큰 링) 상용화에 성공하면서 생체인식 기술을 각종 결제와 사물인터넷(IoT)에
결합하는 플랫폼 선점에 나섰다. 중국 유니온페이 역시 기존 QR코드 기반 인프라를 지문인증
방식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이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에 치여 갈라파고스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5일 정보통신(IT)·금융권에 따르면 애플, MS, 비자카드, 마스터카드가 연합해 지문반지 상용화에
성공했다. 신용카드 결제는 물론 애플페이, 스마트폰 연동, 컴퓨터 접속과 출입 관리까지 가능하다.
TV나 IoT 통제, 가상현실(VR)·혼합현실(MR) 접속도 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지문 센서를 탑재, 은행 등급 2단계 인증까지 지원한다. 업계는 “공룡 대연합군이 마침내
'디지털 혁명'의 한걸음을 내디뎠다”며 이후 미칠 파장에 주목했다.
MS 생체인식 보안 기능인 '윈도 헬로' 진영에는 텔라스(옛 젬알토), 비자카드 등이 합류했다. 출입증과
네트워크 접속, 컴퓨터 접속 등을 지문카드(PKI) 하나로 해결한다. FIDO 2 기반으로 향후 모든 전자기기와
연동해 사용할 공산이 커졌다. IoT 산업을 염두에 둔 협력 진영 구축이다.
이 기술은 ID 카드 등을 통해 이용한다. 기업 워크스테이션, 네트워크, 계정 외에 현재 위치에 접근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기존 PKI 인증 방식과도 양립할 수 있어 기존 인프라를 교체하지 않고 채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 전환에도 용이하다.
QR코드가 활성화된 중국도 생체인식 기술에 대규모 투자와 전환을 단행한다.
최근 중국 정부는 신용카드 연합인 은련(유니온페이) 지문신용카드를 처음으로 인가했다. 유니온페이는
세계 결제 프로세싱 1위 기업이다. 앞으로 중국은 지불결제 시장에 생체인증 기술을 선도입하고 기업
출입증과 컴퓨터 접속, 출입국관리 등 국가 인프라에도 지문인증 기술을 확대 적용한다. 세계 1위 지문센서
기업 페이톈, 중국 대표 결제 거래 보안 기업 AB와 대량 생산 라이선스를 체결했다. 출입증+컴퓨터 접속,
지불결제까지 허용하는 플랫폼이다. 페이톈은 100개 이상 국가에서 200여개 은행과 6000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카드 제조 선두 세계 기업이다. 중국 유니온페이는 페이톈을 통해 향후 지문카드 대량 공급에
나설 방침이다.
미국과 중국이 생체인증을 차세대 미래 기술로 낙점, 대규모 투자와 함께 연합전선을 형성하고 있지만 한국은
금융권에서 일본 독점 기술인 정맥인증을 부분 도입하는 데 머물고 있다. 향후 IoT와 생체인증 표준화, 특허
싸움에서도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들 글로벌 기업이 왜 생체인증, 특히 지문인증을 채택했느냐다.
인공지능(AI) 스피커, 스마트워치, 홈 가전, VR 등 융합 산업 핵심에 있는 IoT 시장 장악을 위해서다.
이미 애플 등은 애플워치 6에 터치 ID 도입을 확정하며 생체인증 특허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아마존이나
MS 등도 생체인증 특허 등을 연이어 출원하고 애플 등과 연합전선에 나섰다. 구글도 30~40개 특허를 출원했다.
MS는 지문USB를 도입, 윈도10 컴퓨터 접속을 추진했다.
전문가들은 IoT 시장이 개화되면 한국은 이들 글로벌 기업과의 생체표준 싸움에서 크게 밀릴 것으로 분석했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한국도 국제 사회에 통할 수 있는 생체인증 기술 내재화와 표준화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5년 안에 VR, 증강현실(AR)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서 도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
특히 지문반지(토큰 링) 상용화에 성공하면서 생체인식 기술을 각종 결제와 사물인터넷(IoT)에
결합하는 플랫폼 선점에 나섰다. 중국 유니온페이 역시 기존 QR코드 기반 인프라를 지문인증
방식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이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에 치여 갈라파고스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5일 정보통신(IT)·금융권에 따르면 애플, MS, 비자카드, 마스터카드가 연합해 지문반지 상용화에
성공했다. 신용카드 결제는 물론 애플페이, 스마트폰 연동, 컴퓨터 접속과 출입 관리까지 가능하다.
TV나 IoT 통제, 가상현실(VR)·혼합현실(MR) 접속도 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지문 센서를 탑재, 은행 등급 2단계 인증까지 지원한다. 업계는 “공룡 대연합군이 마침내
'디지털 혁명'의 한걸음을 내디뎠다”며 이후 미칠 파장에 주목했다.
MS 생체인식 보안 기능인 '윈도 헬로' 진영에는 텔라스(옛 젬알토), 비자카드 등이 합류했다. 출입증과
네트워크 접속, 컴퓨터 접속 등을 지문카드(PKI) 하나로 해결한다. FIDO 2 기반으로 향후 모든 전자기기와
연동해 사용할 공산이 커졌다. IoT 산업을 염두에 둔 협력 진영 구축이다.
이 기술은 ID 카드 등을 통해 이용한다. 기업 워크스테이션, 네트워크, 계정 외에 현재 위치에 접근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기존 PKI 인증 방식과도 양립할 수 있어 기존 인프라를 교체하지 않고 채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 전환에도 용이하다.
QR코드가 활성화된 중국도 생체인식 기술에 대규모 투자와 전환을 단행한다.
최근 중국 정부는 신용카드 연합인 은련(유니온페이) 지문신용카드를 처음으로 인가했다. 유니온페이는
세계 결제 프로세싱 1위 기업이다. 앞으로 중국은 지불결제 시장에 생체인증 기술을 선도입하고 기업
출입증과 컴퓨터 접속, 출입국관리 등 국가 인프라에도 지문인증 기술을 확대 적용한다. 세계 1위 지문센서
기업 페이톈, 중국 대표 결제 거래 보안 기업 AB와 대량 생산 라이선스를 체결했다. 출입증+컴퓨터 접속,
지불결제까지 허용하는 플랫폼이다. 페이톈은 100개 이상 국가에서 200여개 은행과 6000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카드 제조 선두 세계 기업이다. 중국 유니온페이는 페이톈을 통해 향후 지문카드 대량 공급에
나설 방침이다.
미국과 중국이 생체인증을 차세대 미래 기술로 낙점, 대규모 투자와 함께 연합전선을 형성하고 있지만 한국은
금융권에서 일본 독점 기술인 정맥인증을 부분 도입하는 데 머물고 있다. 향후 IoT와 생체인증 표준화, 특허
싸움에서도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들 글로벌 기업이 왜 생체인증, 특히 지문인증을 채택했느냐다.
인공지능(AI) 스피커, 스마트워치, 홈 가전, VR 등 융합 산업 핵심에 있는 IoT 시장 장악을 위해서다.
이미 애플 등은 애플워치 6에 터치 ID 도입을 확정하며 생체인증 특허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아마존이나
MS 등도 생체인증 특허 등을 연이어 출원하고 애플 등과 연합전선에 나섰다. 구글도 30~40개 특허를 출원했다.
MS는 지문USB를 도입, 윈도10 컴퓨터 접속을 추진했다.
전문가들은 IoT 시장이 개화되면 한국은 이들 글로벌 기업과의 생체표준 싸움에서 크게 밀릴 것으로 분석했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한국도 국제 사회에 통할 수 있는 생체인증 기술 내재화와 표준화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5년 안에 VR, 증강현실(AR)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서 도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