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전자신문] 세계는 데이터 산업 육성 '올인'…실무형 데이터 인재 양성 시급

최고관리자
2018-08-23 14:11 9,962

본문

4차 산업혁명 핵심 '데이터' 주목도가 높아진다. 많은 기업과 국가가 데이터를 이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데이터 경제'에 집중한다. 데이터 수집부터 저장, 관리, 유통 등 데이터 전반 과정에서 경제 가치가 만들어진다. 데이터 중요성이 커지면서 데이터를 다루는 인재 필요성도 높아진다. 실무형 데이터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체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계는 데이터 산업 육성에 '올인'

세계 주요 국가는 범부처 차원에서 빅데이터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주요 데이터 확보부터 인재양성, 데이터 활용 확대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대책을 마련한다.

미국은 2016년 '빅데이터 연구개발(R&D) 전략 계획'을 마련했다. 범부처 차원에서 빅데이터 7대 R&D 전략과 18개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빅데이터 기술 개발과 의사결정 도구 R&D를 지원한다. 빅데이터 인프라를 강화해 데이터 산업 활성화 기반을 확보한다. 빅데이터 인력 확충과 협력 생태계를 구축,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합쳐 움직인다.

중국도 2016년 '빅데이터산업 발전계획'을 시행했다. 10개 이상 글로벌 빅데이터 선도기업을 만들고 500개 이상 응용서비스 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중국은 빅데이터가 중국 인구·경제규모를 활용한 전 산업 발전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 여긴다. 데이터 개발 확대와 플랫폼 기술 지원을 비롯해 빅데이터 전문인재 공급에 주력한다.

유럽과 일본은 지난해부터 데이터 산업 관련 정책을 마련, 시행한다. 유럽연합(EU)은 '유럽 데이터 경제 육성 전략'을 세우고 유럽 내 통합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한다. 플랫폼 기반으로 데이터 접근·분석·활용 강화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 비즈니스를 창출한다.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을 마련해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합법적 데이터 유통을 동시에 추구한다. 일본은 2014년 '데이터 중심 사회 실현' 전략에 이어 지난해 '미래투자전략 2017'을 더해 데이터산업 육성 의지를 피력했다. 빅데이터 분석 인재 양성에 주력한다.

◇국내 데이터 산업 급성장…인력문제 해결 숙제

국내도 데이터 산업 성장세가 예상된다. 지난해 국내 데이터 산업 규모는 14조3047억원으로 2016년에 비해 4.0% 성장했다. 연평균 7.5% 대 성장세가 예상되는 등 국내도 데이터 산업이 성장세로 접어들었다.

데이터 산업이 성장하면서 데이터 분석가 등 관련 직무 종사자도 증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조사한 '2017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데이터 분석가와 데이터 컨설턴트 종사자수가 전년도에 비해 14.4%, 10.9%씩 증가했다.

업계는 데이터 산업 성장을 위해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과학자 등 관련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할 과제로 꼽는다.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데이터산업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가운데 11.4%가 데이터 사업 수행 시 어려움으로 '데이터 전문 인력 부족'을 꼽았다. 데이터 솔루션 업계는 '동종업계 내 경쟁심화(25.8%)'에 이어 데이터 전문 인력 부족 문제(16.6%)를 두 번째 어려움으로 답하는 등 데이터 인력 부족 현상이 대두된다.

데이터와 연관성 없는 기업도 데이터 인력 수요가 높다. 데이터 전문업체 엔코아가 기업 대상으로 재직자 대상 교육 수요조사결과 빅데이터(50%), 데이터베이스(25%), 사물인터넷(16.67%) 순으로 직무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데이터 관련 직무 비율이 75%에 달하는 등 산업 영역에 관계없이 데이터 교육과 인재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실무형 인재 양성이 핵심…現 전문인력 수급체계 개편해야

 전문가는 단순 데이터 인재 양성 교육은 지양해야한다고 지적한다. 실제 업무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실무형 인재 양성'이 핵심이라고 조언한다.

실제로 현재 정부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데이터 교육 프로그램은 단순 기술 교육에 치중한다. 2주∼4개월 기간 동안 기술과 분석 역량 커리큘럼을 제공하지만 단기간 배운 내용을 토대로 실전에 임하기에 한계가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학생이나 졸업생 대상으로 2주에서 몇 달 교육만으로 실무형 인재를 양성한다는 것은 어렵다”면서 “기업 요구 수준에 맞춰 커리큘럼과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실질적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이 원하는 데이터 인재 맞춤형 교육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 대학은 데이터베이스(DB) 개발과 구축·직무 인력을 양성한다. 그러나 기업은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데이터 분석 등 데이터 사이언스 직무인력을 선호한다.

초중급 인력 양성도 중요하다. 엔코아가 취업포털 '사람인' 빅데이터 관련 채용 정보를 분석한 결과 기업은 신입(19.1%)과 3∼5년차(40.2%) 인력을 가장 많이 선호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학에서 현장 수요 기반 실무형 인재를 육성해 기업에 공급해야하는데 교육 인프라가 없어 현장 실무형 인재 육성이 어렵다”면서 “데이터사이언스 분야 전문직무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기업 기술력과 경쟁력을 강화할 고급인재 부족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등 데이터 관련 인력 부족 현상을 앞으로 심화될 것”이라면서 “현행 데이터 인재 육성 프로그램과 과정을 철저히 실무형 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맞춰 개편해야 제대로 된 인력 수급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지선 전자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