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삼성SDS, 공공 SW사업 본격화…철수 6년 만에 대형 SW사업 출사표
최고관리자
2019-07-17 14:54
8,850
-
- 관련링크 : http://www.etnews.com/201907160002788459회 연결
본문
삼성SDS, 공공 SW사업 본격화…철수 6년 만에 대형 SW사업 출사표
삼성SDS가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을 본격화한다.
2013년 공공 SW 사업에서 철수한 지 6년 만에 대형 공공 SW 사업에 뛰어들었다.
삼성SDS가 공공 시장에 복귀하면서 공공 정보기술(IT)서비스업계의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S는 행정안전부가 추진하는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구축 1단계
사업' 참여 제안서를 제출했다. 차세대 지방세시스템 구축 사업은 2021년까지 3년 동안 1668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2013년 공공SW 대기업 참여제한 제도가 시행된 이후 삼성SDS의 전자정부
대형 사업 참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는 지난달 초 사업 발주가 났을 때부터 삼성SDS의 참여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삼성SDS는 올해 초 국세청의 빅데이터 사업 참여를 준비했다가 막판에 철회했다. 삼성SDS는
국세청 빅데이터 사업 참여 결정 철회 이후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몇 달 동안
컨소시엄 구성과 준비에 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SDS가 이번에도 막판까지 사업 참여를 고심하다 최근 참여를 최종
확정했다”면서 “국세청 빅데이터 사업 때처럼 막판에 참여를 철회하면 그동안 함께 준비한
컨소시엄 기업의 반발이 심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부담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SDS의 공공사업 복귀 움직임은 지난해부터 가시화됐다. 삼성SDS는 지난해 관세청
수출통관 물류서비스 블록체인 기술 적용 사업을 수행했다. 규모는 작지만 공공 블록체인
사례를 확보했다. 이번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사업을 수주하면 대형 사례를 확보, 사실상 공공사업
복귀를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사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신기술이 대거 포함된 사업이어서 수주할 경우 별도의 공공팀이나
인력, 부서를 신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삼성SDS가 공공사업에 다시 진출하는 이유는 대내외 상황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삼성SDS는 내부거래 매출 비중을 줄이고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한 대외 사업 확대가 당면 과제다.
홍원표 삼성SDS 대표도 올해 회사 목표로 '대외 사업 강화'를 강조했다.
공공사업은 삼성SDS 입장에서 신규 매출처다.
공공사업은 이번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을 시작으로 기획재정부의 내년도 1400억원 규모
차세대 디지털예산회계기스템(디브레인) 구축 사업, 2500억원 규모(예상) 우체국금융 차세대 등
대형 사업 발주가 연이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 사업 하나만 수주해도 삼성SDS는 신규 매출이
1000억원 이상 발생한다.
대외 분위기도 변했다.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움직임이 활발하다.
특히 공공은 최근 들어 클라우드,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디지털 전환 사업을 강화한다.
IT서비스업계는 사례 확보가 중요하다. 공공은 디지털 전환의 최적 사례다.
삼성SDS의 공공 시장 진입 시 4조원 규모 공공 시장을 둘러싼 업계 경쟁 판도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공공은 대기업인 LG CNS와 대우정보시스템, 아이티센 등 중견기업 간 경쟁 및 협력이 이어졌다.
새로운 대기업의 등장으로 업계 간 경쟁과 협력 구도도 바뀐다.
삼성SDS가 공공 시장에 복귀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사업 수주가 관건이다.
행안부가 추진하는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은 전 국민이 이용하는 지방세 납부서비스
'위택스'(이용자 770만명)와 지방자치단체 세무공무원(2만여명)이 사용하는 세무행정시스템을
13년 만에 전면 개편하는 사업이다. 사업은 삼성SDS와 LG CNS가 맞붙는다. LG CNS도
15일 사업 참여 제안서를 제출했다. 최종 사업자 선정 결과는 18일 발표된다.
김지선 SW 전문기자 river@etnews.com
삼성SDS가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을 본격화한다.
2013년 공공 SW 사업에서 철수한 지 6년 만에 대형 공공 SW 사업에 뛰어들었다.
삼성SDS가 공공 시장에 복귀하면서 공공 정보기술(IT)서비스업계의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S는 행정안전부가 추진하는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구축 1단계
사업' 참여 제안서를 제출했다. 차세대 지방세시스템 구축 사업은 2021년까지 3년 동안 1668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2013년 공공SW 대기업 참여제한 제도가 시행된 이후 삼성SDS의 전자정부
대형 사업 참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는 지난달 초 사업 발주가 났을 때부터 삼성SDS의 참여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삼성SDS는 올해 초 국세청의 빅데이터 사업 참여를 준비했다가 막판에 철회했다. 삼성SDS는
국세청 빅데이터 사업 참여 결정 철회 이후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몇 달 동안
컨소시엄 구성과 준비에 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SDS가 이번에도 막판까지 사업 참여를 고심하다 최근 참여를 최종
확정했다”면서 “국세청 빅데이터 사업 때처럼 막판에 참여를 철회하면 그동안 함께 준비한
컨소시엄 기업의 반발이 심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부담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SDS의 공공사업 복귀 움직임은 지난해부터 가시화됐다. 삼성SDS는 지난해 관세청
수출통관 물류서비스 블록체인 기술 적용 사업을 수행했다. 규모는 작지만 공공 블록체인
사례를 확보했다. 이번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사업을 수주하면 대형 사례를 확보, 사실상 공공사업
복귀를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사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신기술이 대거 포함된 사업이어서 수주할 경우 별도의 공공팀이나
인력, 부서를 신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삼성SDS가 공공사업에 다시 진출하는 이유는 대내외 상황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삼성SDS는 내부거래 매출 비중을 줄이고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한 대외 사업 확대가 당면 과제다.
홍원표 삼성SDS 대표도 올해 회사 목표로 '대외 사업 강화'를 강조했다.
공공사업은 삼성SDS 입장에서 신규 매출처다.
공공사업은 이번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을 시작으로 기획재정부의 내년도 1400억원 규모
차세대 디지털예산회계기스템(디브레인) 구축 사업, 2500억원 규모(예상) 우체국금융 차세대 등
대형 사업 발주가 연이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 사업 하나만 수주해도 삼성SDS는 신규 매출이
1000억원 이상 발생한다.
대외 분위기도 변했다.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움직임이 활발하다.
특히 공공은 최근 들어 클라우드,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디지털 전환 사업을 강화한다.
IT서비스업계는 사례 확보가 중요하다. 공공은 디지털 전환의 최적 사례다.
삼성SDS의 공공 시장 진입 시 4조원 규모 공공 시장을 둘러싼 업계 경쟁 판도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공공은 대기업인 LG CNS와 대우정보시스템, 아이티센 등 중견기업 간 경쟁 및 협력이 이어졌다.
새로운 대기업의 등장으로 업계 간 경쟁과 협력 구도도 바뀐다.
삼성SDS가 공공 시장에 복귀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사업 수주가 관건이다.
행안부가 추진하는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은 전 국민이 이용하는 지방세 납부서비스
'위택스'(이용자 770만명)와 지방자치단체 세무공무원(2만여명)이 사용하는 세무행정시스템을
13년 만에 전면 개편하는 사업이다. 사업은 삼성SDS와 LG CNS가 맞붙는다. LG CNS도
15일 사업 참여 제안서를 제출했다. 최종 사업자 선정 결과는 18일 발표된다.
김지선 SW 전문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