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산업도 집주인이 '갑(甲)'
최고관리자
2013-03-12 17:00
10,117
본문
데이터센터 소유 기업이 입주업체들에 무소부위의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 한국사회의 고질병 주택난이 IT업계에도 닥쳤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의 한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자는 상면 요금체계에 전기요금 사용료를 할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가령 랙 1대당 35만원 기본요금에 1A당 전기요금을 추가 부과하는 식이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전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전보다 더 많은 비용을 내야 한다. 이전보다 2배가량의 IDC 이용요금을 지불하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국내 IDC업계는 건물 상면당 비용을 기준으로 요금체계를 운영해왔다. 전기요금은 계약당시 기본요금에 포함돼 사실상 정액제처럼 운영된다. 그러나 작년부터 이어진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인상에 IDC업체들이 전기요금 부담을 입주사에 효율적으로 전가하는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해당 회사가 전체 IDC 소유기업들 중에서 처음으로 전기요금을 할증제로 운영하는 총대를 맺다”라며 “이 회사가 성공하면 모든 IDC업체들이 같은 방식을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입자' 중소 서버호스팅 업체, 비용부담↑
이에 중소 서버호스팅 회사들이 막대한 비용부담을 떠안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국내 대다수 서버호스팅 회사들이 자체 IDC를 소유하지 않고, 통신사나 IT서비스회사의 IDC를 빌려 사업을 벌이고 있다.
얼마전 한 통신사는 입주해있는 서버호스팅 업체에 공문을 발송했다. 이달부터 전기요금 인상분을 추가지불하라는 내용이었다. 이에 불응한 한 서버호스팅업체는 고객사에 서버 이전을 요청했고, 그 사이 고객과 불협화음도 겪었다.
서버호스팅업체 관계자는 “최근 인터넷 서비스 신생업체가 눈에 띄게 줄어든데다, 중소기업의 IT 예산은 늘어나지 않고 있다”라며 “호스팅시장은 가격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서비스요금을 인상하기도 어려워 난처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상황에서 IDC 입주비 증가는 곧 사업 위기로 직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데이터센터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IT에 필요한 핵심 자산이 사는 집이다. 데이터센터 입주자는 소유주의 요구를 울며겨자먹기로 들어줄 수밖에 없다. 당장 데이터세터에서 쫓겨나면 사업을 완전히 중단해야 하고, 새로운 데이터센터 건물로 인프라를 옮기는 일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일반건물과 달리 데이터센터는 아무나 소유할 수 없는 시설이다. 대규모 부지에 매입해 고가의 설비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운영비용을 투입해야 한다. 때문에 자본력이 부족한 회사는 독자적인 데이터센터를 소유하기 힘들다.
■ '집주인' IDC 소유업체 힘 막강, 주택 시장 보는 듯
최근 IDC 소유업체의 힘은 어느 때보다 막강하다. 서울 수도권 일대의 IDC가 포화상태에 도달한데다, IDC 상면 수요는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신생기업의 수요는 적지만, 기존 중견업체의 상면수요는 늘었다. 지어진 주택은 한정돼 있고, 세를 들려 하는 잠정 세입자는 많은 상황. 한국의 주택시장과 똑같은 모습이다.
IT업계는 IDC 소유주의 막강한 권력은 각 통신사에서 신축중인 데이터센터 완공 시점에 이르러 힘을 잃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DC 소유업체의 행보가 마냥 불합리한 건 아니다. 전기요금 인상과 함께 정부의 에너지 절감 규제에 직면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전기요금 할증제를 선택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한대의 서버라도 전기요금을 쓴 만큼 낸다는 게 아주 나쁜 방안은 아니다”라며 “다만 불합리한 가격산정이 우려되는 만큼 특정 업체들의 담합보다 정부의 적절한 시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의 한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자는 상면 요금체계에 전기요금 사용료를 할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가령 랙 1대당 35만원 기본요금에 1A당 전기요금을 추가 부과하는 식이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전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전보다 더 많은 비용을 내야 한다. 이전보다 2배가량의 IDC 이용요금을 지불하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국내 IDC업계는 건물 상면당 비용을 기준으로 요금체계를 운영해왔다. 전기요금은 계약당시 기본요금에 포함돼 사실상 정액제처럼 운영된다. 그러나 작년부터 이어진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인상에 IDC업체들이 전기요금 부담을 입주사에 효율적으로 전가하는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해당 회사가 전체 IDC 소유기업들 중에서 처음으로 전기요금을 할증제로 운영하는 총대를 맺다”라며 “이 회사가 성공하면 모든 IDC업체들이 같은 방식을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입자' 중소 서버호스팅 업체, 비용부담↑
이에 중소 서버호스팅 회사들이 막대한 비용부담을 떠안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국내 대다수 서버호스팅 회사들이 자체 IDC를 소유하지 않고, 통신사나 IT서비스회사의 IDC를 빌려 사업을 벌이고 있다.
얼마전 한 통신사는 입주해있는 서버호스팅 업체에 공문을 발송했다. 이달부터 전기요금 인상분을 추가지불하라는 내용이었다. 이에 불응한 한 서버호스팅업체는 고객사에 서버 이전을 요청했고, 그 사이 고객과 불협화음도 겪었다.
서버호스팅업체 관계자는 “최근 인터넷 서비스 신생업체가 눈에 띄게 줄어든데다, 중소기업의 IT 예산은 늘어나지 않고 있다”라며 “호스팅시장은 가격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서비스요금을 인상하기도 어려워 난처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상황에서 IDC 입주비 증가는 곧 사업 위기로 직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데이터센터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IT에 필요한 핵심 자산이 사는 집이다. 데이터센터 입주자는 소유주의 요구를 울며겨자먹기로 들어줄 수밖에 없다. 당장 데이터세터에서 쫓겨나면 사업을 완전히 중단해야 하고, 새로운 데이터센터 건물로 인프라를 옮기는 일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일반건물과 달리 데이터센터는 아무나 소유할 수 없는 시설이다. 대규모 부지에 매입해 고가의 설비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운영비용을 투입해야 한다. 때문에 자본력이 부족한 회사는 독자적인 데이터센터를 소유하기 힘들다.
■ '집주인' IDC 소유업체 힘 막강, 주택 시장 보는 듯
최근 IDC 소유업체의 힘은 어느 때보다 막강하다. 서울 수도권 일대의 IDC가 포화상태에 도달한데다, IDC 상면 수요는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신생기업의 수요는 적지만, 기존 중견업체의 상면수요는 늘었다. 지어진 주택은 한정돼 있고, 세를 들려 하는 잠정 세입자는 많은 상황. 한국의 주택시장과 똑같은 모습이다.
IT업계는 IDC 소유주의 막강한 권력은 각 통신사에서 신축중인 데이터센터 완공 시점에 이르러 힘을 잃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DC 소유업체의 행보가 마냥 불합리한 건 아니다. 전기요금 인상과 함께 정부의 에너지 절감 규제에 직면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전기요금 할증제를 선택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한대의 서버라도 전기요금을 쓴 만큼 낸다는 게 아주 나쁜 방안은 아니다”라며 “다만 불합리한 가격산정이 우려되는 만큼 특정 업체들의 담합보다 정부의 적절한 시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